ㅇ (정의) 관광객을 위하여 운송·숙박·음식·운동·오락·휴양 또는 용역을 제공하거나 그 밖에 관광에 딸린 시설을 갖추어 이를 이용하게 하는 산업활동
ㅇ (필요성) 세계적인 관광추세와 우리나라 고유의 관광을 포괄하는 분류체계, 산업 범위와 규모가 확장되고 있는 추세에 맞춰 국제관광산업 분류기준과 호환 가능한 분류체계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관광산업활동을 반영할 수 있는 관광산업 분류체계가 필요
ㅇ 세계관광기구(WTO)와 유엔통계위원회가 공동 작성한 국제관광표준분류(Standar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Tourism Activities)를 기초로 국내 관광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작성
ㅇ 관광진흥법[법률 제10801호]
ㅇ 건설업, 자동차판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부동산 및 기계장비 임대업, 여행사 및 기타 여행 보조업 등을 포함
- 핵심 관광산업을 중심으로 관광산업에 대한 기여도와 역할에 따라 상호의존, 부분적용, 지원산업으로 영역별 분류를 추가하여 관광산업의 파급효과를 함께 알 수 있도록 분류체계 구성
구분 | 연도 | 분류체계 | ||||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세분류 | 세세분류 | ||
제정 | 2000년 | 11 | 27 | 64 | 71 | 17 |
제 1차 개정 | 2002년 | 13 | 29 | 69 | 112 | 33 |
제 2차 개정 | 2008년 | 13 | 30 | 76 | 127 | 39 |
제 3차 개정 | 2012년 | 4 | 22 | 57 | 106 | - |
구분 |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 활용기관 |
---|---|---|
통계조사 | 관광산업/사업체조사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관광연구원 |
서비스업생산지수 | 통계청(서비스업동향과) | |
분석 및 연구 | 관광산업실태 분석 및 진흥정책 수립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
관광산업 경제효과 분석 | 한국관광공사 |
ㅇ 제출 및 작성(생산)기관
- (국제권고) 세계관광기구(WTO), 유엔통계처(UNSD)
- (제정) 문화체육관광부
- (1차 개정) 문화체육관광부
- (2차 개정) 문화체육관광부(관광정책과)
- (3차 개정) 문화체육관광부(정보통계담당관)
ㅇ 관리기관
- 통계청(통계기준과)
※ 출처: 통계청 통계분류포털 [ 경제분류 > 관광산업 > 소개 ]
2025년 6월 12일 확인 (https://kssc.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