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분류 특수분류코드 검색 | 사회서비스산업 분류체계
11차
10차
특수분류 소개

사회서비스산업 특수분류

■ 개요


ㅇ (배경) 새로운 사회서비스 개발, 사회서비스 융․복합 및 수요자 중심의 사회서비스산업 확립을 위한 분류 필요

ㅇ (목적) 한국표준산업분류를 기반으로 사회서비스산업 분야에 해당하는 항목을 선정하여 사회서비스산업 특수분류를 마련함으로써 관련 산업의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통계 작성 수단으로 활용

■ 근거(법령)


ㅇ 사회보장기본법 제3조(정의)

ㅇ 사회보장기본법 제32조(사회보장통계)

■ 포괄범위


ㅇ 복지, 보건의료, 고용, 교육, 문화 등 사회서비스 산업 분야별로 대분류 구성

- 돌봄, 병·의원, 취·창업 지원, 사회서비스 기술·플랫폼 개발업 등 사회서비스 분야 및 기능을 기준으로 분류

■ 주요 제・개정 및 분류체계 현황


사회서비스산업 주요 제・개정 및 분류체계 현황
구분 연도 분류체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제정 2013년 8 15 44 - -
제1차 개정 2025년 6 16 49 - -

■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사회서비스산업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구분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활용기관
통계조사 사회서비스수요공급실태조사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산업 현황 통계
분석 및 연구 신규 서비스 개발 및 공급 기반 정책지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관계기관(부서)


ㅇ 제출 및 작성(생산)기관

- (제정) 보건복지부(사회서비스사업과)

- (1차 개정) 보건복지부(사회서비스정책과)

ㅇ 관리기관

- 통계청(통계기준과)

※ 출처: 통계청 통계분류포털 [ 경제분류 > 사회서비스산업 > 소개 ]
2025년 7월 22일 확인 (https://kssc.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