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코드와 산업분류코드 완벽가이드 | 인디코드 Indicode
11차
10차

업종코드 & 산업분류코드 가이드

당신의 사업 등록부터 인허가까지, 코드 하나로 제대로 준비하세요.

사업을 시작하거나 업종을 바꾸려 할 때 반드시 마주하게 되는 두 가지 코드가 있습니다: 업종코드산업분류코드(KSIC). 이 가이드는 두 코드의 개념부터 선택 방법, 인허가와의 연관성까지 쉽고 명확하게 설명합니다.

1. 왜 이 코드들이 중요한가요?

2. 업종코드란 무엇인가요?

3. 산업분류코드(KSIC)란 무엇인가요?

4. 업종코드 vs 산업분류코드 — 차이점 한눈에 보기

업종코드와 산업분류코드(KSIC) 비교
항목 업종코드 산업분류코드(KSIC)
주관 기관 국세청 통계청
목적 사업자등록 · 세무관리 산업통계 · 정책분석
코드 체계 6자리 숫자 (업태+종목) 대-중-소 분류체계 (영문 분류 포함)
적용/활용 사업자 등록 시 입력 인허가, 지원사업, 통계자료 활용 시 참조
변경 가능성 사업형태 변경 시 필요 산업구조 변화 시 주기적 개정

5. 업종코드 및 산업분류코드 선택 시 체크포인트

6. 코드 변경 또는 추가가 필요할 때

7. 본 AI 추천 기능의 사용 방법 안내

  1. 사업내용을 자연어로 입력하세요. (예: “온라인 핸드메이드 액세서리 도·소매”)
  2. AI가 키워드를 분석해 추천 업종코드 + KSIC를 제안합니다.
  3. 제안된 코드를 바탕으로 사업자등록/인허가 서류를 준비합니다.
  4. 필요 시 코드 비교 및 변경 가이드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