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분류 특수분류코드 검색 | 공간정보산업 분류체계
11차
10차
특수분류 소개

산업분류 특수분류코드란?

■ 산업분류 특수분류코드란?


특수분류코드’는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Korea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체계 내에서 정형화된 일반 산업활동 범주에 포함되지 않거나 새롭게 부각된 산업·서비스 영역을 보다 세밀하게 구분하기 위해 추가로 만든 보조적 분류 코드입니다.

즉, 기존의 대분류·중분류 중심 체계로는 포착이 어려운 신산업, 융합산업, 특화산업 등을 별도 축으로 정의·관리하는 보완 체계가 특수분류입니다.

■ 왜 ‘특수분류코드’가 중요한가요?


  • 신산업 대응: 신산업·융합산업의 급부상으로, 기존 KSIC만으로는 활동을 정확히 분류하기 어려운 경우가 증가했습니다. 특수분류는 이런 영역을 세분화해 관리합니다.
  • 정책/지원사업 조건: 지원사업·정책기획·통계작성에서 “특정 특수분류코드 해당 사업자”를 요건으로 쓰는 사례가 많습니다. 해당 여부가 중요한 판단 요소가 됩니다.
  • 창업/사업 변경 전략: 내 사업이 어떤 특수분류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면, 향후 확장성·신산업 인증·정책지원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특수분류코드의 구조 및 예시


특수분류는 KSIC 표준코드에 부가 코드를 덧붙이거나, 확장 표기로 나타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예컨대 “공간정보 관련 제조업”, “공간정보 관련 기술 서비스업”처럼 특정 기술·연계성에 기반한 축으로 세분화됩니다.

예시

  • 코드명: 공간정보 관련 제조업
  • 상위코드: KSIC 내 제조업 대분류
  • 설명: 공간정보 기술을 활용한 장비·기기 제조업

또한, 특수분류는 대·중분류 체계 외에 전·후방 산업 연결성, 융합 서비스 포함 등 추가 기준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창업자 / 인허가 담당자를 위한 활용 팁


  1. 사업 내용을 명확히 정리하세요.
    • 어떤 재화/서비스를 제공하나요?
    • 어떤 기술을 쓰거나 어떤 융합 형태인가요?

    이러한 요소를 정리하면 특수분류 적용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습니다.

  2. 지원사업 요건을 확인하세요.

    많은 공공사업이 “특수분류코드 OOO 해당 사업자”를 조건으로 둡니다. 특수분류코드 검색으로 내 사업의 포함 여부를 선제 확인하세요.

  3. 코드 선택 시 미래 확장성을 고려하세요.

    현재뿐 아니라 향후 추가될 서비스/제품까지 염두에 두고 검색·선택하세요.

  4. AI 추천 검색 기능을 활용하세요.

    본 사이트의 AI 추천은 사업 내용을 자연어로 입력하면 적합한 일반 업종코드 + 특수분류코드 조합을 함께 제안합니다.

■ 자주 묻는 질문(FAQ)


Q. 특수분류코드와 일반 산업분류코드(KSIC)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KSIC는 통계·정책용으로 널리 쓰이는 표준산업분류이고, 특수분류코드는 신산업·융합산업 등을 별도로 관리하기 위한 보조 체계입니다.
Q. 내 사업이 특수분류코드에 해당되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상위 KSIC 코드를 먼저 파악한 뒤, 특수분류코드 검색에서 관련 키워드/연관 산업을 입력하면 자동 추천을 받을 수 있습니다.
Q. 특수분류코드가 지원사업이나 인허가에서 꼭 유리한가요?
유리한 경우가 많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일부는 특수분류가 요건이지만, 일반분류만으로 가능한 사업도 있으니 해당 공고의 세부 요건을 반드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