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분류 특수분류코드 검색 | 로봇산업 분류체계
11차
10차
특수분류 소개

로봇산업 특수분류

■ 개요


ㅇ (목적) 제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신성장ㆍ융복합 산업인 로봇산업 특수분류 체계를 마련하여 관련 국가통계 작성ㆍ서비스 등에 활용

ㅇ (필요성) 협동 로봇, 소셜 로봇, 무인비행(드론)형 로봇, 인공지능 활용 로봇 등 새로운 개념에 따르는 로봇 유형들이 개발ㆍ보급되고 있으며, 미래 변화추세까지 반영한 분류 필요

■ 근거(법령)


ㅇ 지능형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

ㅇ 로봇산업 발전방안(산자부)

■ 포괄범위


ㅇ IFR(국제로봇연맹) 분류체계에 기초하고 국내 로봇산업 특수성을 반영하여 7개 대분류(제조업 6개, 서비스업 1개)로 구성

- 제조업 중심으로 구성된 IFR 국제분류에 국내「지능형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 「로봇산업 발전방안 (산자부)」을 참고한 로봇생태계 요소 등을 고려하여 로봇관련 서비스업을 포함한 산업범위 구성

■ 주요 제・개정 및 분류체계 현황


로봇산업 주요 제・개정 및 분류체계 현황
구분 연도 분류체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제정 2006년 4 28 137 - -
제1차 개정 2008년 4 28 137 - -
제2차 개정 2011년 7 48 229 - -
제3차 개정 2019년 7 44 162 - -

■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로봇산업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구분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활용기관
통계조사 로봇산업실태조사 로봇산업협회
기계산업통계 기계산업진흥회
분석 및 연구 로봇산업 지원정책 및 R&D 과제 수립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 기본계획 및 실행계획 수립 산업기술평가관리원

■ 관계기관(부서)


ㅇ 제출 및 작성(생산)기관

- (제정) 기계산업진흥회

- (1차 개정) 지식경제부

- (2차 개정) 지식경제부(로봇산업과)

- (3차 개정) 산업통상자원부(기계로봇항공과), 로봇산업협회

ㅇ 관리기관

- 통계청(통계기준과)

※ 출처: 통계청 통계분류포털 [ 경제분류 > 로봇산업 > 소개 ]
2025년 7월 10일 확인 (https://kssc.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