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정의) 해양수산업은 해양공간에서 해양수산자원을 이용하여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제공하는 산업활동과 관련 활동
- (해양공간) 내수 ‧ 영해 ‧ 배타적 경제수역‧대륙붕 등 대한민국 주권‧주권적 권리 또는 관할권이 미치는 수권(水圈) 및 기권(氣圈)을 포함
ㅇ (목적) 해양산업 및 수산업 부문의 구조 분석, 시장 규모 등 기초 현황 파악, 해양수산업 관련 국가통계작성 및 정책지원
ㅇ (특수분류 정비사업) 특수분류 18종 정비과정(2017~2018년)에서 수산업 특수분류와 해양산업통계조사 분류체계를 통합·개정하는 방안(해양수산부 제안)을 채택하고 개정작업 추진
ㅇ 해양수산발전 기본법 제3조(정의)
ㅇ (산출물) 해양수산자원 채취·포획·양식·채집·추출 결과 산출물(1차 산출물), 1차 산출물을 투입물로 가공한 2차 산출물 포함
ㅇ (투입물) 해양수산업 관련 1,2차 산출물 생산에 주로 사용되는 투입물을 포함
ㅇ (관련 활동) 해양수산자원 보호·보존·개발·관리·레저·스포츠 등에 필요한 재화 생산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동 포함
구분 | 특수분류명 | 연도 | 분류체계 | ||||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세분류 | 세세분류 | |||
제정 | 수산업 특수분류 | 2015년 | 2 | 8 | 26 | 60 | 90 |
1차 개정 | 해양수산업 특수분류 | 2018년 | 9 | 29 | 68 | 143 | - |
구분 |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 활용기관 |
---|---|---|
통계조사 | 해양수산업통계조사 | 해양수산부 |
귀농어귀촌인통계 | 통계청(행정통계과) | |
부산항 해운항만산업 실태조사 | 부산항만공사 | |
해양수산창업실태조사 | 해양수산개발원 | |
분석 및 연구 | 교통산업 일자리 정보조사 정책사업 | 한국교통연구원 |
ㅇ 제출 및 작성(생산)기관
- (제정) 해양수산부(수산정책과)
- (1차 개정) 해양수산부(정보화담당관)
ㅇ 관리기관
- 통계청(통계기준과)
※ 출처: 통계청 통계분류포털 [ 경제분류 > 해양수산업 > 소개 ]
2025년 7월 25일 확인 (https://kssc.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