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정의) 농축산식품산업과 산림산업을 원물생산산업, 후방산업(투입재 산업), 전방산업(가공, 소비 및 관련 서비스 산업)으로 구분하여 분류한 산업활동
ㅇ (배경) 전통적 농림축산물(1차산업) 생산중심 체계에서 가치사슬로 융복합된 2차ㆍ3차산업 중요성이 함께 높아지고 있음
ㅇ (필요성) 최근 정책통계 수요가 급증하는 농림축산식품산업 관련 전 · 후방 산업을 연계 구성한 특수분류 개발 및 적용이 긴요하게 요청되며, 표준화한 특수분류 적용으로 국가 승인통계 생산 및 서비스 운용과정의 비교성 · 통일성 제고
ㅇ 농촌 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2014)
ㅇ 산림복지 진흥에 관한 법률(2016)
ㅇ 국가 승인통계 현황 및 정책 영역 등 활용성을 고려하여 농축산식품산업과 산림산업으로 부문으로 이원화
ㅇ 산업 간 가치사슬 구조 파악을 위해 산업연관표에서 농림축산물 생산업 관련 연관산업을 추출하여 분류체계 구성
- 농림축산식품산업은 1차 원물생산산업, 원료 및 가공기계 제조업, 관련 건설업 등은 후방산업, 가공품 제조업, 관련 도소매업 및 운수업 등은 전방산업으로 구성
후방산업 (투입재산업) |
원물생산산업 | 전방산업 (가공, 소비 및 서비스산업) |
|
---|---|---|---|
농축산식품산업 |
· 투입 원료, 가공기계류 제조업 - 비료, 농약, 의약품 등 - 공구류, 가공기계 등 · 산업용 건물/구조물 건설업 |
· 농작물 시설/노지 재배 · 가축 및 반려동물 사육 |
· 농림축산물 가공업 · 농림축산물 도소매업 · 농림축산물 소비 및 서비스업 (음식점, 여가/오락 등) · 기타 산업 지원 서비스업 |
산림산업 |
· 임산물 시설/노지 재배 · 영림/벌목/재배/채취 |
||
농림축산식품산업 |
구분 | 연도 | 분류체계명 | 분류체계 | ||||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세분류 | 세세분류 | |||
제정 | 2020년 | 농림축산식품산업 | 14 | 58 | 124 | 289 | 202 |
1.농축산식품산업 | 8 | 25 | 69 | 159 | 202 | ||
2.농축산식품산업 | 6 | 33 | 55 | 130 | - |
구분 |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 활용기관 |
---|---|---|
통계조사 | 농식품산업실태조사 | 농림축산식품부 |
임업통계조사 | 산림청 | |
농산물소득조사 | 농촌진흥청 | |
분석 및 연구 | 농림축산식품산업 정책 파급효과 등 연관분석 | 농림축산식품부 |
관련기관 정책지원 및 농가 컨설팅 | 축산물품질평가원 |
ㅇ 제출 및 작성(생산)기관
- (제정) 농림축산식품부(정보통계정책담당관), 산림청(정보통계담당관)
ㅇ 관리기관
- 통계청(통계기준과)
※ 출처: 통계청 통계분류포털 [ 경제분류 > 농림축산식품산업 > 소개 ]
2025년 7월 10일 확인 (https://kssc.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