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분류 특수분류코드 검색 | CCUS산업 분류체계
11차
10차
특수분류 소개

CCUS산업 특수분류

■ 개요


ㅇ (배경) 글로벌 탄소중립 규제 강화로 이산화탄소 多배출 산업의 경쟁력 확보 및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써 CCUS 기술* 수요 증대

*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 발전 및 산업공정 등에서 배출된 CO2를 심부지층에 안전하게 저장하거나 전환·활용하는 기술


신재생에너지산업 특수분류

■ 포괄범위


ㅇ CO2 포집·수송·저장·활용 등과 관련한 핵심산업 및 관련 건설·제조업, 유통업, 평가·안전·서비스업 등 전·후방산업 포괄

- (핵심산업)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활용 산업

- (후방산업) CCUS 핵심산업별 건설업, 소재·부품·장비제조업 등

- (전방산업) 유통업, 인허가·환경성 평가 등을 포함한 서비스업

■ 주요 제・개정 및 분류체계 현황


ㅇ CCUS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산화탄소 처리 프로세스에 맞춰 분류체계 마련하여 대(8)-중(22)-소(57) 분류의 3개 계층구조로 구성

※ 8개 대분류 → ➊이산화탄소 포집 및 처리업, ➋이산화탄소 수송 및 수송 안전관리업, ➌이산화탄소 저장업, ➍이산화탄소 활용 제품 제조업, ➎CCUS 관련 건설업, ➏CCUS 관련 소재·부품·장비 제조업, ➐CCUS 관련 이산화탄소 판매업, ➑CCUS 관련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ㅇ 「이산화탄소 저장·활용법」에 근거하여 CO2 포집·수송·저장·활용 산업통계 작성 및 공공 모니터링 계획·운영 등에 활용

ㅇ CCUS 산업의 실태조사, 산업 동향 통계 등 관련 국가 기본통계 개발·조정 및 승인 업무에 적용

- 신산업 육성을 위한 산업투자 및 성과 확인 등 통계 활용

- CCUS 산업 동향 분석, 국가 기본통계와의 정합성 연구를 통한 개발·조정 등

■ 관계기관(부서)


ㅇ 제출 및 작성(생산)기관

- (제정)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CCUS추진단, 한국화학연구원

ㅇ 관리기관

- 통계청(통계기준과)

※ 출처: 통계청 통계분류포털 [ 경제분류 > CCUS산업 > 소개 ]
2025년 7월 23일 확인 (https://kssc.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