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분류 특수분류코드 검색 | 서비스업 분류체계
11차
10차
특수분류 소개

서비스업 특수분류

■ 개요


ㅇ (목적) 통계법 제22조(표준분류)에 따라, 서비스업과 관련한 통계작성 및 정책집행 등 행정목적에 활용

■ 포괄범위


ㅇ 한국표준산업분류(KSIC)에서 대분류 기준으로 다음에 해당하는 16개 대분류(E, G ~ U) 부문으로 구성

서비스업 포괄범위
코드 대분류 명칭 코드 대분류 명칭
E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 N 사업시설 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G 도매 및 소매업 O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H 운수 및 창고업 P 교육 서비스업
I 숙박 및 음식점업 Q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J 정보통신업 R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K 금융 및 보험업 S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L 부동산업 T 가구 내 고용활동, 자가소비 생산활동
M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U 국제 및 외국기관

■ 주요 제・개정 및 분류체계 현황


사회서비스산업 주요 제・개정 및 분류체계 현황
구분 연도 분류체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제정 2015년 16 - - - -
제1차 개정 2018년 16 - - - -

■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서비스업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구분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활용기관
통계조사 서비스업조사 통계청
분석 및 연구 조세특례제한법 등 서비스업 정책 활용 기획재정부

■ 관계기관(부서)


ㅇ 제출 및 작성(생산)기관

- (제정) 기획재정부

- (1차 개정) 기획재정부

ㅇ 관리기관

- 통계청(통계기준과)

※ 출처: 통계청 통계분류포털 [ 경제분류 > 서비스업 > 소개 ]
2025년 7월 22일 확인 (https://kssc.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