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배경) 치안산업 진흥을 위한 기초통계자료 확보 추진 및 국정과제* 달성을 위한 정책 수립 추진
* ‘과학치안 기반 조성을 통한 치안역량 강화’ 이행을 위하여 기업 등 민간의 참여를 이끌 치안산업법 제정, 박람회 확대, 협의회 운영 등 추진
ㅇ 치안 관련 기술 개발, 통계 작성 및 활용 등을 고려하여 치안 관련 제조업, 도·소매업, 건축·시설 설계 및 공사업, 서비스업, 기관 및 단체로 분류
ㅇ 치안 분야 특수성과 산업 분야 체계성을 기반으로 대분류 5개, 중분류 15개, 소분류 34개, 세분류 55개로 4개 계층구조 구성
구분 | 연도 | 분류체계 | ||||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세분류 | 세세분류 | ||
제정 | 2024년 | 5 | 15 | 34 | 55 | - |
ㅇ「치안산업진흥법률(안)」에 인용하여 치안산업 실태조사를 위한 분류체계로 활용, 치안산업 진흥 정책추진에 있어 민간 참여 독려, 정책 수립 및 정보 제공 추진
ㅇ 제출 및 작성(생산)기관
- (제정) 경찰청, 한국통계진흥원
ㅇ 관리기관
- 통계청(통계기준과)
※ 출처: 통계청 통계분류포털 [ 경제분류 > 치안산업 > 소개 ]
2025년 7월 25일 확인 (https://kssc.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