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분류 특수분류코드 검색 | 환경산업 분류체계
11차
10차
특수분류 소개

환경산업 특수분류

■ 개요


ㅇ (목적) OECD의 「환경 재화 및 서비스 산업」과 「한국표준산업분류」를 기준으로 환경관련 산업현황 파악 및 관련 정책에 활용

■ 근거(법령)


ㅇ OECD에서 규정한 「환경 재화 및 서비스 산업」을 기초로 환경부와 통계청이 공동 작업하여 제정

■ 포괄범위


ㅇ 물ㆍ공기ㆍ토양의 환경적 유해요인과 폐기물ㆍ소음ㆍ환경시스템과 관련된 문제를 측정, 방지, 조절 및 최소화할 수 있는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산업.

- 환경위험을 감소시키고 오염 및 자원이용을 최소화시키는 청정기술, 재화 및 서비스를 포함

■ 주요 제・개정 및 분류체계 현황


환경산업 주요 제・개정 및 분류체계 현황
구분 연도 분류체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제정 2005년 4 9 25 62 -
1차 개정 2005년 4 9 25 62 -
2차 개정 2009년 4 7 22 152 -
3차 개정 2014년 8 54 130 330 -
4차 개정 2017년 8 52 126 292 -

■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환경산업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구분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활용기관
통계조사 환경산업통계조사 환경부
서비스업생산지수 통계청(서비스업동향과)
환경산업조사(환경산업 및 환경교육 육성 정책 등) 부산광역시, 경상북도
기상산업실태조사 기상산업기술원
분석 및 연구 국가환경산업 및 기술정책 환경부
환경산업 지원정책 경상북도

■ 관계기관(부서)


ㅇ 제출 및 작성(생산)기관

- (국제권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 (제정) 환경부

- (1차 개정) 환경부

- (2차 개정) 환경부(녹색기술산업과)

- (3차 개정) 환경부(환경산업과)

- (4차 개정) 환경부(환경산업기술과, 녹색산업혁신과)

ㅇ 관리기관

- 통계청(통계기준과)

※ 출처: 통계청 통계분류포털 [ 경제분류 > 환경산업 > 소개 ]
2025년 7월 25일 확인 (https://kssc.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