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icode - 공간정보산업 분류체계
11차
10차
특수분류 소개

공간정보산업 특수분류

■ 개요


ㅇ (정의) 공간정보를 생산・관리・가공・유통하거나 다른 산업과 융・복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여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산업활동

ㅇ (목적) 물류·문화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공간정보산업을 국가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관련 산업을 구체화하고 정확성 높은 공간정보산업의 현황 파악 및 통계 생산

■ 근거(법령)


ㅇ 공간정보산업진흥법 제2조

■ 포괄범위


ㅇ 한국표준산업분류(KSIC)에서 공간정보산업에 속하는 사업(제조업, 도매업, 서비스업 등)

- 지상·지하·수상·수중 등 공간상에 존재하는 자연 또는 인공적인 객체에 대한 위치정보 및 이와 관련된 공간적 인지정보

- LBS(Location based services) 및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게임 등 공간정보와 융·복합 및 연계하거나 다양하게 접목하여 활용하는 연관산업분야도 연계산업으로 포함

< 예시 >

· 측량업 및 위성영상을 공간정보로 활용하는 사업

· 위성측위 등 위치결정 관련 장비산업 및 위치기반 서비스업

· 공간정보의 생산·관리·가공·유통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개발

· 공간정보 관련 교육 및 상담 등

■ 주요 제・개정 및 분류체계 현황


공간정보산업 주요 제・개정 및 분류체계 현황
구분 연도 분류체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제정 2012년 6 17 24 - -
제 1차 개정 2019년 6 16 20 - -

■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공간정보산업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구분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활용기관
통계조사 공간정보산업통계조사 국토교통부
서비스업생산지수 통계청(서비스업동향과)
분석 및 연구 산업파급효과 및 생태계 분석 등 연구 공간정보연구원, 국토연구원

■ 관계기관(부서)


ㅇ 제출 및 작성(생산)기관

- (제정) 국토해양부(공간정보기획과)

- (1차 개정) 국토교통부(공간정보진흥과)

ㅇ 관리기관

- 통계청(통계기준과)

※ 출처: 통계청 통계분류포털 [ 경제분류 > 공간정보산업 > 소개 ]
2025년 6월 12일 확인 (https://kssc.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