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정의) 스포츠와 관련된 재화와 서비스를 통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스포츠산업진흥법)
ㅇ (배경) 스포츠산업 진흥 기반에 필요한 스포츠미디어 분야 등이 스포츠산업 특수분류에서 제외되어 있어 스포츠산업 정책 추진시 한계 발생
ㅇ (목적) 스포츠에 대한 인식 전환 등의 스포츠산업 환경 변화에 발맞춰 바둑의 스포츠 종목 인정, 일반 자전거 대중화 등 스포츠산업 개념 확대에 따른 스포츠산업 환경 변화 반영
ㅇ 국민체육진흥법
ㅇ 스포츠산업진흥법
ㅇ 체육시설의 설치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거한 체육시설업의 구분 및 종류
ㅇ ‘국민체육진흥법’에 의거한 체육(운동경기, 야외운동 등 신체활동을 통하여 건전한 신체와 정신을 기르고 여가를 선용하는 것) 활동을 지원하는 제조업, 건설업, 관련 서비스(시설업, 기타 운동관련 서비스업)업과 스포츠라는 재화를 수동적 여흥거리로 제공하기 위해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 유통하는 산업(스포츠 정보 제공업, 스포츠 이벤트업)
구분 | 연도 | 분류체계 | ||||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세분류 | 세세분류 | ||
제정 | 2000년 | 3 | 12 | 23 | - | - |
제1차 개정 | 2008년 | 4 | 15 | 44 | - | - |
제2차 개정 | 2012년 | 3 | 8 | 20 | 65 | - |
제3차 개정 | 2018년 | 3 | 8 | 20 | 65 | - |
구분 | 작성통계 및 활용 현황 | 활용기관 |
---|---|---|
통계조사 | 스포츠산업조사 |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체육관광일자리현황 통계조사 | 문화체육관광부 | |
서비스업생산지수 | 통계청(서비스업동향과) | |
분석 및 연구 | 스포츠산업진흥 지원정책 | 경상북도,문화관광연구원 |
ㅇ 제출 및 작성(생산)기관
- (제정)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연구원
- (1차 개정) 문화체육관광부
- (2차 개정) 문화체육관광부
- (3차 개정) 문화체육관광부(정보통계담당관, 데이터정책팀)
ㅇ 관리기관
- 통계청(통계기준과)
※ 출처: 통계청 통계분류포털 [ 경제분류 > 스포츠산업 > 소개 ]
2025년 7월 23일 확인 (https://kssc.kostat.go.kr)